-
22. 마음리더십을 계속 공부하는 이유마음리더십 홍보 2019. 1. 4. 12:14
마음리더십을 계속 공부하는 이유 마음리더십말고도 다른 것들이 많이 있잖아요? 제가 이름을 들어본 것만 해도 T.E.T.(교사역할훈련), 배움의 공동체, 회복적 생활교육, 공감코칭, 학급긍정훈육. 이렇게 많이 있는 걸요. 여기에다가 협동학습, 놀이학습 등등등 이렇게 많은 공부 중에서 제가 왜 마음리더십을 계속 공부하는지 알려드릴게요. 교사역할훈련은 책을 한 권 읽어보았고 다른 것들은 알지를 못하니 마음리더십이 다른 것에 비해서 가지고 있는 장점을 알려드리기는 힘들어요. 하지만 제가 왜 다른 것에 눈을 돌리지 않고 꾸준히 공부하는 지는 알려드릴 수 있어요. 개인적인 이유니까 너무 심각하게 보진 마세요~ 리더인 김창오 박사님의 영향력이 매우 크답니다. 몇 마디 안 나눠본 것 같은데 나를 꿰뚫어 보고 있는 것 ..
-
21. 힘든 교직생활은 왜 자꾸 반복이 될까?마음리더십 홍보 2019. 1. 4. 12:12
힘든 교직생활은 왜 자꾸 반복이 될까? 교사의 마음리더십을 공부하면서 효과를 몸소 체험한 저로서는 학교에서 예전의 저처럼 힘들어 하는 선생님들을 못본척 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용기를 내어 우리 공부를 소개하고 안내해주지만 실제로 오프라인 모임에 참여하시는 분들은 아직은 없어요. 제가 추측하기로는 촉진자과정 같은 경우는 시간과 돈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쉽게 결정내리지 못하시는 것 같아요. 학교생활, 가정생활, 육아, 취미생활 등등 너무나 바쁘고 돈들어가는 데가 많으시잖아요. 그런데 한편 다시 생각해보면 이 선생님들은 이렇게 해야할 것이 너무나 많아서 힘든 것 같기도 해요. 수업해야 하죠, 공문처리 해야 하죠, 집에 가면 밥 해서 애들 먹여야 하죠, 건강이 안 좋아지니 운동도 하나쯤은 해야 하죠, 가끔은..
-
20.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마리와 일상 2019. 1. 3. 12:35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저는 요새 학교에서 시간이 날 때 동료 선생님들과 탁구를 치고 있어요. 그런데 이게 묘~한게 그냥 연습을 할 때에는 여러 가지 기술이 잘 들어가는데 시합을 하게 되면 구사를 하기가 힘들더라고요. 예를 들어서 커트볼을 드라이브를 해서 공격을 하고 싶은데 시합에서 몇 번 실패하면 두려워져서 다시 시도하기가 힘들어요. 두려움이라는 기분이 저를 지배하는 거죠. 이렇듯 감정이 우리의 마음 속을 채우면 실력 발휘가 되지 않아서 가지고 있는 능력을 다 쓰지 못하게 되어요. 우리가 마음리더십을 통해서 여러 가지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하지만 실제로 교실에 들어가면 아이들 반응이 기대와 달리 전혀 없어서 당황할 때도 있고요, 또는 기대와 달리 너무 떠들어서 화가 날 때도 있어요. 그러다보면..
-
19. 요즘 애들은 고마워 할 줄을 몰라요.마리와 일상 2019. 1. 3. 10:47
요즘 애들은 고마워할 줄을 몰라요 어렸을 때 학교에는 매점이 있었더랬죠. 에어컨도 없이 더운 날씨에 수업을 하려니까 우리 뿐만 아니라 선생님들도 힘들어 하셨어요. 가끔은 선생님이 반장을 시켜서 매점에 가서 하드를 사오라고 하셨죠. 그러면 우리들은 “선생님 감사합니다”하면서 맛있게 하드를 쪽쪽 빨았죠. 그런데 제가 선생님이 되고 나니까 요즘 애들은 풍족해서 그런지 뭘 사줘도 고마워 할 줄을 모르더라고요. 떡볶이를 사줘도, 피자를 사줘도, 뭘 사줘도 별 반응없이 그저 자기네들끼리 웃으면서 먹기만 할 뿐. 얼마나 섭섭하던지요. 이럴 때 애들한테 다음과 같이 얘기하자니 뭔가 기분이 껄쩍지근한게 안 좋기도 하고요. 얘들아, 너희들은 어째 고마워할 줄을 모르냐? 그렇다고 이렇게 이렇게 얘기하면 너무 구차한 것 같지..
-
18. 난 바빠 죽겠는데 애들이 안 움직여요(생활기록부)마리와 일상 2019. 1. 2. 15:36
내 마음 표현하기(지적, 질책, 꾸중하기) 학기말이라 생활기록부 때문에 바빠 죽겠는데 우리반 녀석들은 도대체가 움직이질 않아요. 몇번씩이나 얘기를 했는데도 도통 움직이질 않는다니깐요! 진짜 몇 번을 얘기했는데도 꿈쩍도 안 하고 오늘은 출력을 해서 주면서 설명을 했는데도 뭘 해야 하냐고 또 물어보고 또 물어보고. 대답을 해줘도 다른 아이가 또 물어보고 또 물어보고. ㅠㅠ 이럴 때 선생님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아마 그냥 놔두거나 혼내거나 둘 중 하나로 반응하지 않으실까 생각이 됩니다만… 생활기록부는 애들 것이므로 움직이지 않으면 그냥 놔둔다. 나: 얘들아, 생기부 기초자료 내야지. 학생: … 나: 내일까지 안 내면 나도 더 이상 신경 안 쓰고 그냥 ‘참여하였음’이라고 써줄거다. 애들을 위한 것이므로 혼내서라..
-
17. 사실 지향적 대화 vs 관계 지향적 대화마리와 일상 2019. 1. 2. 08:27
사실 지향적 대화 vs 관계 지향적 대화 지난 번에는 마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려드렸었는데요, 이번에는 마음을 표현하는 대화의 두 가지 방식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제가 자주 가는 병원이 있어요. 하나는 가정의학과이고 하나는 내과인데요, 잘 살펴보면 크게 다른 것은 없는데 저는 가능하면 내과로 가게 되고 가정의학과는 다른 병원이 다 문을 닫아서 어쩔 수 없을 때만 가게 되더라구요. 이유는 이렇습니다. 내과에 가면 선생님이 차분하게 증상을 물어보세요. 제가 대답을 하면 따뜻한 목소리로 좀 더 물어보기도 하고 제가 증상을 완화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천천히 알려주세요. 내용도 내용이지만 신뢰감이 가더군요. 내과: 어디가 불편하세요? 나: 요새 자꾸만 설사를 해서요. 내과: 설사를 하면 불편하죠. 언제..
-
16. 마음이란?마리와 일상 2018. 12. 28. 11:04
마음 마음이란 무엇일까요? 우선 다음 사진을 보시죠. 그릇에 귀여운 고양이 한 마리가 들어가 있네요^^ 마음리더십에서는 우리의 마음을 이런 빈 그릇에 비유한답니다. 물론 마음 속에 고양이가 들어있지는 않겠지요? 이 마음그릇 안에는 여러 가지가 담기게 되는데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답니다. 마음 사실 생각 기분 본심 이렇게 마음 속에 담겨있는 것들을 말로 표현하면 내 마음을 표현하다고 말할 수 있을 테고, 상대방의 마음 속에 있는 것들을 들어주면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말할 수 있겠죠. 사실 사실이란 것은 외부의 어떤 것에 대하여 내가 인지한 사실을 얘기해요. 왜 이렇게 복잡하게 설명을 할까요? 그것은 우리가 객관적인 사실이라고 생각하는 것들도 사실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인지할 수 있음..
-
15. 대화와 독백마리와 일상 2018. 12. 28. 10:06
대화와 독백 우리는 일반적으로 두 사람 이상이 서로 말을 주고 받는 것을 대화라고 합니다. 하지만 마음리더십에서는 좀 다른 시각에서 대화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어요. 독백 겉으로 보기에는 대화처럼 보이나 사실은 자신의 이야기만 하고 있는 상태 학생들: 선생님, 어쩐 일이예요? 교사: 몰라, 오늘 경찰서에서 너희들 면담 온대. 학생들: 왜요? 교사: 그건 나도 몰라. 어제 밤에 연락 받았어. 학생들: 좋은 일이예요, 나쁜 일이예요? 교사: 좋은 일일 확률이 높지. 학생들: 그러면 잘됐네. 어떠신가요? 크게 이상한 건 보이지 않죠? 그런데 마음리더십에서는 이러한 것을 독백이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서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기만 할 뿐,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하지는 않기 때문이죠. 대화 위의 대화를 다음과 ..